Ryan's Tech Note

  • 홈
  • 태그
  • 방명록
프로필사진

IT Software Architecture ------ (AA, TA, DA) 의 모든 노하우 정리

  • 분류 전체보기
    • AI
    • Linux
      • CentOS Stream 9
      • Ubuntu 24
    • Windows
    • Network
    • Database
    • Security
    • 가상화
      • ESXi
    • AA (Application Architectur..
    • 개발
    • Hardware
    • 생활의팁

Tag

RoundCube, Apache, docker, 우분투, CentOS, 웹메일, Eclipse, git, 라운드큐브, 메일, jenkins, 오류, centos9, Linux, 워드프레스, PostgreSQL, 이클립스, svn, postfix, tomcat,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Network 1

ipTIME 에서 DDNS 설정해서 집 컴퓨터 접속하기

ipTIME 에서 DDNS 를 설정해서 다른곳에서도 집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보통 집 인터넷은 유동IP라 IP가 바뀔수도 있어서 일관된 접속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는데, DDNS 도메인으로 접근하면 일관되게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NAS 접근 (2) 웹서버 운영 (3) 집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톱 접속하기 이런것들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로 접속하여 ipTIME에 로그인한다. (1)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위는 이미 등록을 해서 갱신, 삭제 버튼이 보이는데, 처음에는 DDNS 등록 버튼만 보일 것이다. 원하는 호스트이름을 입력한다. 사용자 ID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DDNS 등록 버튼을 클릭 하면 등록된다. (이메일 회사에 따라 ..

Network 2023.02.10
이전
1
다음
더보기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