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가 아닌 Linux 서버를 쓰는 이유는 (1) 가볍고 (2) 오픈소스 기반의 무료 이기 떄문이다. 스타트업 초기 오픈소스로 사용하다 회사가 성장하여 필요한 경우 상용 라이센스를 구입할 수 있는 Redhat 기반의 CentOS 를 선택하였다. 보안성, 안정성, 범용성이 있으며 어떤 가상 머신에도 잘 올라간다. 또한, CentOS 는 Fedora 라는 업데이트 주기가 보다 짧은 선행 OS 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오픈소스는 업데이트 후 버그에 취약할 수 있는데, 버그에 대한 안정화 역할을 하는 OS가 앞단에 하나 더 있다는 점이 다른 리눅스에 비해 장점이다. # 릴리즈 사이클 (과거) Fedora → Redhat (상용) → CentOS (오픈소스) # 릴리즈 사이클 (현재) Fedora →..